본문 바로가기

Learning/주식 차트 & 종목 분석

[ 이슈 ] 한국 7월 기준 금리 0.5%p 인상 정보 함께 알아보기 (+지난 10년 한국 기준 금리 변화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한국 기준 금리 인상 정보를 가지고 왔습니다. 7월 기준 금리는 어떻게 되는지, 이에 따른 영향과 지난 10년 한국의 기준금리는 어떠하였는지 함께 살펴볼게요.

 

 

한국기준금리_썸네일

 

 

7월 한국 기준 금리 2.25%

작년 8월부터 오르기 시작한 물가를 낮추기 위해, 한국은행이 연속적으로 금리를 올렸고, 특히 올 7월에는 빅스텝을 두 번 도입하여 현재 기준 금리가 2.25%가 되었습니다. 

 

빅스텝 이란 
0.5%p 씩 금리를 올리는 것 

 

 

 

 

 

기준금리 인상이 주는 영향

 

고금리 대출에 대한 부담과 고물가로 인해 지출은 줄어들고 경제성장은 둔화됩니다. 

대출 금리 인상

부동산 구입, 주식 투자, 자영업 운영을 위해 지난 2020년, 2021년 기준 금리가 낮았던 때에 대출을 받은 경우, 이번 기준 금리 인상은 대출 금리 인상으로 이어저 대출 상환 금액도 늘어나게 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예적금 금리 인상

대출금리가 오르는 것 처럼, 예금 적금의 금리 역시 오르는데요, 각 은행들은 현재 예금 적금의 금리를 올린 상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신한은행의 "아름다운 용기 정기예금" 금리는 현재 연 3%, "신한 쏠만해 적금"의 금리는 연 3.5% 로 인상되었고, NH 농협은행은 "NH올원e예금"의 금리를 0.4% 올렸습니다. 연말까지 기준 금리가 3%까지 오를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예적금 가입시 만기가 길지 않은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합니다.

 

 

 

지난 10년 한국 기준 금리 변화 추이

지난 10년을 돌아보면 한국의 기준 금리가 2%대였던 적이 있었는데요, 지난 2012년 2013년 그리고 2014년에 각각 3.0% 2.50%, 2.25% 였습니다. 

2012년 7월 3.00%
2013년 5월 2.50%
2014년 8월 2.25%
2015년 3월 1.75%
2016년 6월 1.25%
2017년 11월 1.50%
2018년 11월 1.75%
2019년 7월 1.50%
2020년 5월 0.50%
2021년 8월 0.75%
2022년 7월 2.25%

▣ 2008년 8월 세계 금융 위기당시 한국 기준 금리 5.25%

 

 

 

한국은행 금리인상 추가계획 

2022년 9월 혹은 10월 부터 물가지수가 낮아질 것을 예상하고 있는데요, 따라서 그 전까지는 한 두 번 더 추가 금리 인상이 있을 수도 있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참고한 자료

참고한 뉴스 1 :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참고한 뉴스 2 : 머니투데이   
참고한 영상 1 : MBC NEWS ( 하단 영상 )

 

 

마무리

금리 인상 및 고물가로 어려운 시기입니다. 대출 상환에서 오는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금리가 인상된 예적금 상품을 두루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은행별 정기예금상품의 인상된 이자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기예금] 2022년 7월 정기예금 순위 은행 Top 50 (+최대 3.69%)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한국은행이 빅스텝을 적용시켜서 현재 7월 기준 금리가 2.25%로 인상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대출금리와 예적금 금리 모두 인상되었는데요. 각 은행 별 정기예금 이자율

notehau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