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이 중요한 이유
거래가 많은 종목은 대형주, 거래가 적은 종목은 소외주이다. 거래량이 적으면 그만큼 변동성이 적어서 (횡보장) 단기간에 수익을 얻기가 어렵다. 하지만, 거래량이 적던 종목에서 "평균 거래량"이 300~500% 이상 증가하기 시작하면 이에 수반되는 변동성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대량 거래가 장대 양봉을 만든 경우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 모두 이익으로 들어가는 구간이므로 투자심리가 좋아진다.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가질 수 있다.
대량 거래가 만드는 발생봉과 돌파봉으로 잡는 매매 타이밍
매수타이밍
예를 들어, 대량 거래가 일어난 오늘 장대 양봉이 생겼다고 하자. 이를 발생봉이라고 부를 수 있다. 발생봉 A의 고점을 매수타이밍으로 잡는다. 즉 이 선이 무너지고 상향돌파가 생기면 매수한다. ( 위 그림 참조 )
며칠 후 종가(돌파봉 A)가 발생봉 A의 고점을 상향으로 돌파하여 뚫을 경우, 최대 거래량을 돌파했다고 한다. 이 때, 돌파봉 A의 "종가"가 발생봉 A의 "고점"을 넘어서 상향돌파했으니 매수한다. ( 위 그림 참조 )
매도타이밍
돌파봉의 "저점"을 매도타이밍으로 잡는다. ( 손절가, 위 그림 참조 )
하향 돌파중인 돌파봉 B의 종가가 돌파봉 A의 저가를 하향 돌파하는 경우, 매도한다. (위 그림 참조)
다양한 사례를 통한 최대 거래량 돌파 매매법 연습
오현진 팀장의 "30강 최대 거래량 돌파 매매법" YouTube 영상 중 24:49분 부터
최대거래량을 이용한 매매의 특징
1. [종가기준] 돌파봉을 볼 때, 장중에 보지말고 거래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종가"를 봐야한다. 장중에 주가가 상승했다가 종가시에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2. [1주일~한달] 종가까지 보고 기다렸다가 하는 매매이므로, 짧게는 1주 길게는 한달 정도를 보고 수익실현을 하는 매매법이다. (하루종일 차트를 들여다 볼 수 없는 직장인들이 하기에 좋은 것 같다. )
3. 이런 현상들이 생각보다 여러 차트에서 발견된다고 한다.
4. [또 다른 매도 타이밍] 5일 이평선이 하향 돌파봉의 "종가"로 깨지는 부분도 좋은 매도 타이밍이다.
5. [봉의 고점] 최대거래량이 양봉만 만드는 것은 아니다. 음봉도 생기고 다양하다. 양봉이든 음봄이든 뭐든, 최대거래량에 수반되는 발생봉의 "고점"이 돌파되면 매수하는 것이 좋다.
6. 발생봉의 고점을 뚫는 돌파봉이 너무 긴 것보다는 짧은 것도 장점이 있는데, 짧으면 매수와 매도 금액 차이가 적어서 갑작스러운 손실 발생시 피해금액이 적다.
참조
'Learning > 주식 차트 &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식 공부 / 장기투자 / 재무제표 ] "8강. 재무제표 분석으로 우량주 찾기" 오현진 팀장의 주식의 정석 YouTube 요약 노트 (1) | 2021.05.26 |
---|---|
[ 주식 공부 / 주식 차트 보는 법 / 단기 & 중장기 매매 / 이동평균선 / 매수매도 ] "4강. 이동평균선의 이해와 활용" 오현진 팀장의 주식의 정석 YouTube 요약 노트 (0) | 2021.05.12 |
[ 주식 공부 / 주식 차트 보는 법 ] 수급과 장세 (0) | 2021.05.09 |
[ 주식공부 ] 공매도 (0) | 2021.05.07 |
[ 주식 공부 / 주식 차트 보는 법 ] 종가, 시가 그리고 갭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