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 정의
기업이 내는 성적표와 같은 것으로 (1) 재무상태표, (2) 손익계산서, (3) 현금흐름표, (4) 주석이 재무제표로 쓰인다.
재무제표 분석이 중요한 이유
장기적으로 봤을 때, 주가는 결국 기업의 가치에 수렴한다.
즉, 기업의 현재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재무제표 분석이 중요하다.
재무제표 분석법
1. 모든 항목을 다 분석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투자에 필요한 부분만 분석하자.
2.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기업을 검색하면 기업의 재무제표를 볼 수 있다.
1. 재무상태표
1-1. 특정 시기에 기업이 기업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어디서 얼마만큼 투자했는지를 보여준다.
1-2. 특정 시기에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을 공개한다. e.g., "자산(부동산) = 부채(대출) + 자본(내돈)"
1-3. 자산
1-3-1. 유동자산
A.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 즉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나 마찬가지이다.
현금자산이 높으면 기업이 안정적이라서 좋으나, 현금만 많이 가지고 있고 투자를 안 하면 좋지 않다.
B. 매출채권 **
기업이 물건을 판매했을 때 받는 채권같은 것이다.
돈으로 바꿀 수 있을 지 없을 지 불확실성이 있는 자산이다. 따라서, 매출채권이 높으면 좋지 않다.
1-3-2. 비유동자산 **
쉽게 현금화 할 수 없는, 즉 팔기가 어려운 자산이다. 비유동자산이 높으면 좋지 않다.
A 매도가능금융자산 **
B 유형자산 **
1-4. 부채 & 1-5. 자본
1-4-1. 유동부채 **
당장 갚아야 하는 부채로서 유동부채 비율이 높으면 그 기업은 빚에 시달릴 수 있다. 유동부채가 높으면 좋지 않다.
1-4-2. 비유동부채
비유동부채는 당장 갚지 않아도 되는 부채로 장기차입금과 같다.
1-5-1. 납입자본
기업을 처음세울 때 갖고 있던 자금
1-5-2. 이익잉여금
기업이 수익활동을 해서 남은 이익
1-6. 재무상태표 해석시 유의점
* 위 글에서 빨간 별 표시가 두개 (**) 되어 있는 항목의 비율이 높으면 좋지 않다.
2. 손익계산서
2-1.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 성과
2-2. 손익계산서 해석하기 ( 아래 그림 참조 )
* 위 예시는 오현진 팀장의 유튜브 강의 예시를 재구성하여 만든 것입니다. [참조 1]
* 왼쪽 상단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하단으로 내려오는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2-2-1. Checkpoint 1.
판매비와 관리비가 매출총이익의 몇 퍼센트를 소모하는지 보는 것이 좋다. 위 예시의 경우 거의 80% 이상을 차지하는데 이는 좋지 않다고 한다.
2-2-2. Checkpoint 2.
본업(영업이익)이 부업(영업 외 이익)보다 더 수익이 높은지 보는 것이 좋다. 위 예시의 경우 부업이 본업보다 더 이익이 좋으며 이는 좋지 않다고 한다.
3. 현금흐름표
3-1. 영업이익이 좋다고 해서 모든 이익이 현금으로 돌아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현금흐름표를 보는 것이 좋다.
3-2. (1) 영업활동, (2) 재무활동, (3) 투자활동에 대한 3종류의 현금흐름이 있다.
3-2-1. 영업활동 현금흐름 (가장 중요)
물건을 팔아서 돈을 잘 벌고 있는지 판단하는 자료로
영업이익인 경우 (+), 영업손실인 경우 (-) 이다.
3-2-2. 재무활동 현금흐름
돈을 빌리고 갚을 때 발행하는 자본의 유입과 유출로
주식을 발행하여 현금을 얻는 경우 (+) 자기주식을 취득하거나 부채를 상환하여 현금이 소모되는 경우 (-) 이다.
일반적인 기업들의 경우 재무활동이 (-) 인 경우가 많다.
3-2-3. 투자활동 현금흐름
기업의 투자활동에 관련된 자본의 유입과 유출로
설비투자와 같이 현금이 소모되는 경우 (-), 자산매각을 통해 현금을 얻는 경우 (+) 이다.
일반적인 기업들의 경우 투자활동이 (-) 인 경우가 많고 그만큼 기업성장을 위해 투자를 한다는 뜻이다.
3-3.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현금 흐름
이상적인 기업 : 영업활동 (+), 재무활동 (-), 투자활동 (-) [ 초우량 기업 ]
성장중인 기업 : 영업활동 (+), 재무활동 (+), 투자활동(-) [ 적극적인 자금조달 ]
구조조정 기업 : 영업활동 (+), 재무활동 (-), 투자활동(+) [ 자산매각 ]
위험한 기업 : 영업활동 (-), 재무활동 (-), 투자활동(+) [ 자산매각 ]
도산직전 기업 : 영업활동 (-), 재무활동 (-), 투자활동(-)
4. PER & PBR
4-1.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eps)
주당순이익은 "한 주"당 "얼마를 벌고" 있는지 나타낸다. 즉, 내가 "수익"낼 수 있는 "돈 가치 대비 주가"가 얼마인지 보여준다.
4-1-1. PER 해석
주가가 만원이고 주당순이익이 천원이면 per은 10이다 즉, 수익낼 수 있는 돈은 천원인데 주가는 만원씩이나 하는 것이다. PER는 낮은게 좋다. 반대로 주가가 이천원이고 주당순이익이 천원이면 per는 2다. 즉, 수익낼 수 있는 돈은 천원인데 주가는 이천원밖에 안한다. 만원에 비해 이천원이면 싼 값에 주식을 구입하면서도 주당순이익은 같으니 PER는 낮은 것이 좋다.
4-1-2. 기업들의 PER를 비교할 때 유의점
저성장 기업(유통/자동차/의류)일수록 평균 PER는 낮고, (저평가)
고성장(제약/4차산업/엔터주)은 평균 퍼가 높다 (고평가)
즉, 이런 종목별 PER가 어떤지를 미리 알고나서 해당 기업의 PER의 높고 낮음을 판단해야 한다.
4-2. PBR = 주가 / 주당순자산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이 주당 순자산이다. 즉, 내가 "갖고" 있는 "자산 대비 주가"가 얼마인지 보여준다.
4-2-1. PBR 해석
주가가 만원이고 주당순자산이 오천원이면 PBR은 2다. 만원 주고 산 주식을 1주 팔면, 오천원 번다. 반대로, 주가가 만원인데 주당순자산이 2만원이면 PER는 0.5이다. 이 경우, 주가를 1주 팔면 처음에는 만원주고 샀지만 2만원의 자산을 번다. PER 처럼 PBR도 낮은게 좋다.
4-2-2. 기업들의 PER를 비교할 때 유의점
저성장 기업(유통/자동차/의류)일수록 평균 PBR은 낮고, (저평가)
고성장(제약/4차산업/엔터주)은 평균 PBR은 높다 (고평가)
즉, 이런 종목별 PER가 어떤지를 미리 알고나서 해당 기업의 PER의 높고 낮음을 판단해야 한다.
참조 1.
참조 2.
재무제표 중 현금흐름표 분석하기
흑자를 내는 기업이 도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현금흐름이 안 좋기 때문입니다. 기업분석을 제대로 하기 위...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