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6일에 공개된 영상이다.
목차
상승추세
하락추세
횡보추세
상승채널대
하락채널대
추세의 전환
추세의 강화
추세
1.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
2. 어떤 세력이나, 세력이 있는 사람을 따르는 것
* 주식 시장에도 트렌드가 있다.
상승추세 & 매수
1. [정의] 주가 그래프에서 최소 2개 이상의 저점을 이은 일직선이 상향하는 것
2. [지지점] 위 그림 1,2,3처럼 일직선 상에 놓인 지지점이 많으면 많을 수록 주가가 지지선을 이탈하지 않고 반등을 보이면서 계속 우상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3. 실제차트 ( 7:16~ / Link )
4. [매수타이밍] 추세선이 종가기준으로 저점에 닿으면 매수한다. (위 그림 1,2,3 )
* 이 때, 지지점에서 거래량이 높으면 신뢰도가 더 높다.
* 고점이 아니고, 저점이 상승하는 것이 상승추세이다.
하락추세 & 매도
1. [정의] 주가 그래프에서 최소 2개 이상의 고점을 이은 일직선이 하향하는 것
2. [저항점] 위 그림 1,2,3,4,5처럼 일직선에 놓인 저항점이 많으면 많을 수록 주가가 저항선을 이탈하지 않고 계속 우하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3. 실제차트 ( 14:35~ / Link )
* 3-1. 주식은 수학은 아니다. 고점들이 저항선에 정확하게 닿을 필요는 없다. 살짝 이탈할 수도 있고, 못미칠 수도 있다. (위 그림 2)
* 3-2. 위 그림 2와 3사이를 보면, 주가가 하락 후 상승을 보이는 것 같았으나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했다. 결국, 우하향이다.
4. [매도타이밍] 하락 추세임을 확인했을 때는 종가기준으로 고점에 닿으면 매도한다. (위 그림 2,3,4,5)
횡보추세
고점과 저점이 수평적으로 이동할 때이다. 별로 중요하지 않다.
상승채널대
1. 주가의 저점과 고점이 함께 높아지나 폭은 일정하게 유지가 되는 것
* 잘 발견이 안 되나 신뢰도가 높다.
* 박스권은 아니다.
2. 실제차트 ( 24:58~ / Link )
3. [매수&매도타이밍] 채널대 하단에서는 매수, 상단에서는 매도한다.
하락채널대
1. 주가의 저점과 고점이 함께 낮아지나 폭은 일정하게 유지가 되는 것
* 상승채널대와 정확히 반대의 개념이다.
* 잘 발견이 안 되나 신뢰도가 높다.
* 박스권은 아니다.
2. 실제차트 ( 28:35 ~ / Link )
3. [매수&매도타이밍] 하락채널대에서는 매매 자체를 안 하는 것이 좋다.
추세의 전환
1. [정의] 기존의 상승추세가 하락추세로 바뀌거나, 하락추세가 상승추세로 바뀌는 것
2. [상승추세 -> 하락추세]
2-1. [매도타이밍] 위 그림 오른쪽 상단처럼 주가가 상승추세에서 하락추세로 바뀌는 지점은 매도해야 한다. 매수 세력이 매도세력에 밀려서 지지선이 깨졌으며 앞으로는 하락추세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 대량 거래량까지 동반되면 신뢰도가 높다.
2-2. [상승 -> 하락] 실제차트 ( 35:23 ~ / Link )
3. [하락추세 -> 상승추세]
3-1. [매수타이밍] 위 그림 오른쪽 상단처럼, 주가가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바뀌는 지점은 매수해야 한다. 매도 세력이 매수세력에 밀려서 저항선이 깨졌으며 앞으로는 상승추세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3-2. [하락 -> 상승] 실제차트 ( 40:28 ~ / Link )
추세의 강화
1. [정의] 기존의 상승/하락의 추세가 기존의 방향으로 강화되는 경우로 대량 수급의 유입/이탈로 판단한다.
* 추세선이 하나 더 생긴다. (위 그림에 새로운 상승추세선이 추가되었다.)
* 새로 생긴 "상승" 추세선을 따라서 매수 & 매도타이밍을 잡는다. (위 그림 오른쪽 상단)
-> 보라색의 새로운 추세선의 저점에서 매수하며, 추세선이 하향으로 돌파될 때 매도한다.
* 하향 추세선에서는 마찬가지로 매매 자체를 권장하지 않는다.
2. 실제차트 ( 44:50~ / Link )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