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arning/주식 차트 & 종목 분석

[ 주식공부 / 주식 차트 보는 법 / 지지선&저항선 / 매수매도 ] "제2강.지지선과 저항선의 이해와 활용" 오현진 팀장의 주식의 정석 YouTube 요약 노트

2020년 6월 9일에 공개된 강의이다. 

 

요약
지지선에서는 매수, 저항선에서는 매도하며 
지지선을 하향돌파하는 경우 매도하며 
저항선을 상향돌파하는 (장대양봉)경우 매수한다.
* 저항선을 상향돌파하는 경우에 매수하는 방법이 단기매매시에 좋다.  
* 대량거래량이 동반되는 저항선 상향돌파는 주가 상승에 대한 신뢰도가 더욱 높다. 

 


지지선

지지선 

* 주가그래프에서 주가파동의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직선 
* 지지선이 중요한 이유 
*** (1) 지지선은 신규 매수 혹은 추가 매수의 가능성이 높은 가격대이다. 그래서 지지선에서 반등가능성이 높다. 
* 지지선이 생기는 이유
*** (1) 특정가격대에서 저가라고 느끼는 투자자가 많은 경우 지지선이 형성된다. 
*** (2) 반복경험을 통해 특정 가격대에서는 수급이 유입된다는 학습효과가 있는 경우 지지선이 형성된다.  
* "지지점"이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다. ( 그 가격대에서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
* 같은 위치에 있는 최소 두 개의 지지점이 있어야 지지선이 형성된다. 

 

실제 사례  (7:52~)
link: https://youtu.be/Letc_lJkyUk?t=472

 
그 중 case 1. 지지선 I

지지선

* 지지점이 네군데 있다 

* 지지선에서 매수를 하면 수익을 볼 가능성이 높다.  

* (나의 생각) 모든 저점이 정확하게 지지선이 만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저항선

저항선

* 주가그래프에서 주가파동의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직선 
* 주가가 저항선을 상향돌파하면 지지선이 된다. 
* 저항선이 중요한 이유 
*** (1) 저항선은 매도가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가격대로, "매물대"라고 불린다.  
* 저항선이 생기는 이유 
*** (1) 특정 가격대에서 고가라고 느끼는 투자자가 많은 경우 저항선이 형선된다.
*** (2) 특정 가격대에서는 수급이 유출된다는 학습효과가 있는 경우 저항선이 형성된다. 
*** (예) 20,000원에 산 주식이 반토막났다가 다시 20,000원대로 회복이 되면 심리상 거의 다 이 때 판다. 
* 저항점이 많을 수록 신뢰도가 높다. 
* 같은 위치에 있는 최소 두 개의 저항점이 있어야 저항선이 형성된다. 

 

실제 사례 (16:22 ~)

link: https://youtu.be/Letc_lJkyUk?t=982 

 

그 중 case1. 저항선 I 

저항선

* 저항점이 네군데 있다 

* 저항선에서 매도를 하면 수익을 볼 가능성이 높다.  

* (나의 생각) 모든 고점이 정확하게 지항선이 만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지지선과 저항선

지지선과 저항선이 모두 있는 사례 (19:26~)

link: https://youtu.be/Letc_lJkyUk?t=1166 

 

그 중 case1.

지지선과 저항선이 만드는 박스권

* 지지선과 저항선이 박스권을 만들고 있다.

* 박스권에서 주가가 움직이고 있는 경우, 박스권 하단가격에서 매수하고 박스권 상단가격에서 매도한다. 

 


지지선이 깨지는 경우

지지선이 깨지는 경우 

* 매수세력보다 더 많은 매도세력으로 인해 주가의 추가 하락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 지지선은 이제 저항선이 된다. 
* 예로, 지지선이 10,000원이었으나 주가가 하향돌파하는 경우, 다시 운좋게 주가가 회복되어 10,000원대로 올라가면 본전을 회수하겠다는 심리가 발동하여 10,000원대에서 다시 매도가 일어난다. 즉, 10,000원 가격대는 저항선이 된다. 

 

실제사럐 (27:00~)

link : https://youtu.be/Letc_lJkyUk?t=1618 

 

그 중 case1.

지지선이 깨지는 경우

(위 그림 A) 지지선에서 매수를 한 사람들은 주가가 회복되면 바로 매도하는 경향을 보이고, 주가는 다시 하락한다. 

(위 그림 B) 이후 다시 주가가 회복해도 해당가격대에서 다시 하락하면서 저항선이 된다.  

 


지지선이 깨지는 경우를 활용한 전략

지지선이 깨지는 경우

지지선에서는 매수, 저항선에서는 매도, 지지선이 깨질때는 매도한다. 

* 손실률을 짧게 가져갈 수 있다. 


저항선이 깨지는 경우

저항선이 깨지는 경우 

* 매도세력보다 더 많은 매수 세력으로 인해 신규 매수 및 주가의 재반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 이런 경우에, 대량거래량이 동반된 장대양봉이 발생한다. 
* 예로, 20,000원에 매수한 주식이 22,000원으로 상승 후 다시 20,000원으로 하락을 해도 사람들은 매도하지 않고 다시 재반등을 기다릴 확률이 크다. 

 

실제사례 (36:20~)

link : https://youtu.be/Letc_lJkyUk?t=2178 

 

그 중 case1. 

저항선이 깨지는 경우

(대량거래량이 동반된) 장대양봉의 등장하면서 저항선이 깨지고 (위 그림 A), 저항선은 지지선이 된다 (위 그림 B).

 


지항선이 깨지는 경우를 활용한 전략

 

저항선이 깨지는 경우

지지선에서는 매수, 저항선에서는 매도, 저항선이 깨지고 지지선이 될 때는 매수한다. 

* 대량 거래량이 동반된 장대양봉이 매수타이밍이다. 

* 양봉의 "종가"가 반드시 저항선보다 위에 존재해야 저항선이 깨졌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