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15일에 공개된 강의 영상이다.
(2021년 6월 15일 시점에서) 현재 지수가 크게 상승하지도 하강하지도 않고 있다. 코스닥의 경우, 거래대금이 크게 감소하였다. 종목별로 일부 테마주를 제외하고는 움직임이 둔화될 수 있다. 지루함을 견뎌야 하는 시장이다. 지수는 고평가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고점을 더 상향돌파하지 못하고 있다. 지수의 변동성 하락으로 인해 종목자체의 변동성도 하락하고 있다.
수급
* 매수 및 매도를 의미한다.
대량수급
* 대량 수급이란 대규모 물량의 매수 혹은 매도를 의미한다.
* 여러창구에서 들어오는 많은 수급보다 소수창구에서 들어오는 규모가 큰 수급이 더 중요하다.
예) 순매수가 한 회사에 의해 집중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후 그 순매수를 이행한 회사가 대량으로 매도하는지 아닌지만 살펴보면 된다.
* 대량수급이 일어난 이후에는, 또 다른 대량수급이 "추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 반대로, 대량수급 이탈은 추가적인 또 다른 대량수급 이탈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고 주가 하락으로 이어진다.
1. 차트분석을 통한 대량수급 추적 및 한계
1-1. 대량 거래가 동반된 장대양봉 (위 그림 참조 1-1)
(A) 대량수급의 유입을 의미한다.
(B)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는데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았다. 즉, 들어왔던 대량수급이 이탈되지 않았다.
이는 곧, (C) 재반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1-2. 대량 거래가 동반된 장대음봉 (위 그림 참조 1-2)
대량수급의 이탈을 의미한다.
1-3. 대량 거래가 동반되지 않은 장대음봉
대량수급의 이탈이 아직까지는 일어나지 않았다. 작은 수급의 유입에도 재반등 가능성이 있다.
1-4. 차트분석의 한계
* 대규모 자금의 소수계좌 집중매수 여부는 차트분석으로 알 수가 없다.
* 분봉을 통한 분석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이것도 한계가 있다.
2. 분봉 분석을 통한 대량수급 추적 및 한계
(위 그림 참조) 가장 최근 시점의 주가가 앞서 생긴 대량거래량이 동반된 장대양봉(1분봉기준)의 저가를 이탈하지 않았고 (위 그림 A, 재반등의 가능성 시사), 오히려 고가를 상향돌파했다 (위 그림 B, 한템포 더 상승, 매수타이밍 시사).
3. HTS를 이용한 대량수급 추적 (조금 더 쉽게 대량수급 추적하는 법)
예를들어, 1건당 1억원 이상을 매수하고 매도하는 경우를 대량수급으로 설정한 경우, HTS에서 1억원이 넘는 금액의 매수 및 매도건수만을 검색하여 대량 수급의 유입 및 이탈이 몇 번 일어났는지 보는 방법이다.
3-1. 대량 수급 유입이 많은 종목 : 좋은 종목
3-2. 대량 수급 이탈이 많은 종목 : 나쁜 종목
4-1. 시가총액에 따른 대량수급 기준 설정하는 법 (1건 기준)
시가총액 1천억 이하 (작은 종목) : 3천만원
시가총액 1천억 초과 - 3천억 이하 : 5천만원
시가총액 3천억 초과 - 5천억 이하 : 1억원
시가총액 5천억 이상 : 3억원
* 삼성전자의 경우, 몇 십억원 이상의 수급이 있어야 대량수급이 될 수 있다.
* 상대적으로 시가총액이 작은 종목일수록 적은 금액에도 대량수급이 동반되는 종목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2. 실전 (27:28~)
Step1. HTS를 통한 대량수급이 일어난 종목 확인 법 (27:35~ / Link)
Step2. "여러 날"을 지켜보고 step1에서 정한 종목이 연속적으로 대비 (매수건수-매도건수)가 높을 수록 좋다.
Step3. 해당 종목의 차트를 열어보고, 실적을 살펴보고 해당 종목의 단기투자 혹은 장기투자에 적합한지를 판한다고 자신의 투자 성향에 따라서 종목을 정한다.
주식을 매매하는 데있어서 모멘텀은 많을 수록 좋다.
* 모멘텀: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얼마나 가속하게 될 지를 예측하는 다양한 지표들
1. 실적이 좋을 수록
2. 외국인, 기관이 집중적으로 매수할 수록
3. 차트상으로도 좋은 위치에 있을 수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