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주식 차트 & 종목 분석 (27) 썸네일형 리스트형 [ 주식공부 ] 공매도 공매도 (차입공매도) 남에게서 주식을 빌린 후, 매도 하고 다시 매수하여 해당 주식을 다시 돌려주는 방식이다. 그렇다면 왜 공매도를 하는가 ? 주가는 시세를 의미한다. 즉, 변동성이 있는 자금이다. 예를 들어, 한정판 신발이 싼 가격에 나올 때 미리 사서, 수요가 급증하여 해당 신발에 대한 가격이 올라갈때 개인 거래로 비싼 가격에 다시 되팔아서 시세차익을 얻는 것과 비슷하다. 자산운용사들은 주식을 통해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주식에서 시세차익을 보는 경우는 바로 매도 타이밍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에 대한 주식을 빌린 후 (예: 50,000원, 1주 기준), 이것을 그냥 갖고만 있는게 아니라, 주가가 하강곡선을 타면 바로 그때 매도하고, 결국 해당 주식의 주가가 많.. [ 주식 공부 / 주식 차트 보는 법 ] 종가, 시가 그리고 갭 시가 (1) 장이 시작할 때의 가격 (2) 9시 직후에 최초 거래된 가격 종가 (1) 장이 종료될 때의 가격 (2) 오후 3시30분에 장이 마감될 때, 거래된 가격 종가와 시가 전날의 종가가 다음날의 시가와 다를 수 있다. 장이 마감된 후, 시간 외 거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발생하는 차이가 +/- 3% 이상일 경우, 갭이라고 부른다. 갭으로는 (1) 보통갭, (2) 돌파갭, (3) 진행갭, (4) 소멸갭 등등이 있다고 한다. (1) 보통갭 주가가 안정적인 박스권 내에 있을 때 발생하는 갭으로, 이 갭은 며칠안에 혹은 당일에 메워지는 경향을 갖는다고 한다. 이 갭으로 인해 신고가 및 신저가는 발생하지 않는다. (2) 돌파갭 저항선이나 지지선을 넘어서서 발생하는 갭 (2-1) 상승 돌파갭의 .. [ 주식 공부 / 주식 차트 보는 법 ] 지지선, 저항선과 이동평균선 주가와 환율은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움직인다(고 한다). 시장의 흐름 그리고 투자자들의 심리적 요인이 그 방향성에 영향을 주기에 우리는 그 방향성을 어느 정도는 예측을 할 수 있다. 시장의 흐름을 경제뉴스를 통해 알 수 있다면, 심리적 요인은 차트를 통해 알 수 있다. 지지선 주가나 환율이 하락하는 경우, 이 지점을 매수 타이밍으로 보고 투자자들의 매수가 급격히 일어나 주가나 환율이 더이상 하락하지 않는 한계선을 지지선이라고 한다. 매수의 힘이 매도의 힘을 이겨내는 지점으로, 이러한 점들(=저점)을 이은 수평선이 주로 지지선으로 사용된다. 저항선 주가나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 이 지점을 매도 타이밍으로 보고, 투자자들의 매도가 급격하게 일어나 주가나 환율이 더이상 상승하지 않는 한계선을 저항선이라고 한다..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