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복지 & 지원 정보

비닐류 vs 종이류 – 헷갈리는 분리수거 구분법 총정리

택배 포장지, 영수증, 종이컵, 과자봉지 등 겉보기엔 종이 같지만 사실은 비닐, 혹은 그 반대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건 종이야? 비닐이야?” 하루에도 몇 번씩 고민되시죠? 오늘은 혼동하기 쉬운 비닐류 vs 종이류의 정확한 분리배출 기준을 알려드릴게요. 서울시 포함 전국 공통 기준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서울시 비닐류 종이류 분리수거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 종이류 분리수거 기준

✅ 재활용 가능한 종이류

  • 신문지, 책자, 노트
  • 박스류 (택배 상자, 음식 포장박스 등)
  • 광고지, 전단지
  • 종이봉투, 크래프트지

조건:

  • 이물질 없음
  • 테이프, 라벨 제거
  • 젖지 않은 상태

❌ 재활용 불가능한 종이류

  • 종이컵, 종이접시 (코팅됨)
  • 영수증 (감열지)
  • 색종이, 포장지 중 반짝이 포함된 것
  • 젖은 종이, 기름종이, 냅킨

➡️ 위 항목들은 일반쓰레기입니다!


📌 비닐류 분리수거 기준

✅ 재활용 가능한 비닐류

  • 투명/반투명 포장비닐
  • 마트 장바구니용 비닐
  • 깨끗한 비닐 완충재 (뽁뽁이 포함)

조건:

  1. 음식물 오염 없음
  2. 테이프, 스티커 제거
  3. 비닐 단일 재질

❌ 재활용 불가능한 비닐류

  1. 과자봉지, 라면봉지
  2. 색깔 비닐, 인쇄된 비닐
  3. 음식물 묻은 비닐봉지
  4. 재질 혼합 포장지 (플라스틱+비닐 등)

➡️ 위 항목들도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 자주 헷갈리는 쓰레기 TOP 5

쓰레기 종류에 따른 실제 분류법 및 이유를 소개합니다.

종이컵 일반쓰레기 안쪽에 플라스틱 코팅 있음
과자봉지 일반쓰레기 알루미늄/비닐 복합재질
포장용 크래프트지 종이류 코팅되지 않은 순수 종이일 경우
영수증 일반쓰레기 감열지로 재활용 불가
습자지/냅킨 일반쓰레기 물에 젖고 오염되어 재활용 불가

🙋 자주 묻는 질문 (FAQ) 10가지

Q1. 종이컵은 종이니까 종이류로 버리면 되지 않나요?
➤ 아니요. 안쪽이 플라스틱으로 코팅되어 있어 일반쓰레기입니다.

Q2. 과자봉지는 비닐 같아 보여요. 비닐류인가요?
➤ 대부분 복합재질(비닐+알루미늄)로, 재활용 불가입니다.

Q3. 크래프트지 포장지는 종이인가요?
➤ 코팅이 없다면 종이류, 코팅되었다면 일반쓰레기입니다.

Q4. 투명 비닐인데 라벨이 붙어있어요. 재활용 가능한가요?
라벨 제거 후 깨끗이 세척하면 재활용 가능합니다.

Q5. 라면 포장지는 어떤 쓰레기인가요?
복합재질로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Q6. 영수증은 종이 아닌가요?
➤ 감열지라 재활용이 불가하며 일반쓰레기로 처리합니다.

Q7. 젖은 종이는 종이류인가요?
젖으면 품질이 저하되어 재활용 불가입니다.

Q8. 비닐 뽁뽁이는 비닐류로 분리배출 가능한가요?
➤ 깨끗하고 투명한 경우 비닐류 가능, 오염되면 일반쓰레기입니다.

Q9. 광고지에 코팅된 경우는요?
광택이 강한 코팅지는 일반쓰레기, 그렇지 않으면 종이류입니다.

Q10. 종이 포장지에 반짝이가 붙어있어요. 종이로 버려도 될까요?
반짝이, 금박, 코팅이 있으면 일반쓰레기입니다.


비닐과 종이, 둘 다 가장 많이 배출되는 쓰레기 종류인데도 잘못 분리배출하면 재활용이 되지 않아 전량 소각 또는 매립됩니다.

오늘 알려드린 구분법만 기억해도 분리수거 실천력 + 환경 보호 기여도 모두 확 올라갑니다! 특히 비닐과 종이는 코팅 여부, 오염 정도, 재질 혼합 여부가 핵심이에요. 앞으로 쓰레기 버리기 전에 단 5초만! "종이인가? 비닐인가?" 한 번 더 확인해 주세요.